본문 바로가기
꿀팁

2023년 출산지원금 정리 : 출산 혜택 체크하기

by 챠챠* 2023. 1. 15.
728x90
반응형

출산율이 나날이 낮아지면서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나라와 더불어 지역별로도 출산지원금 등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임신 혹은 출산을 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 동일하게 적용받을 수 있는 정부의 2023년 출산지원금 제도의 경우 매년 조금씩 변경되는 부분이 있어 헷갈릴 수 있다. 오늘은 이 부분을 정리해 보았다.



임신출산 바우처
- 임신 확인과 동시에 지원받는 첫 번째 지원금으로 단태아 100만 원, 다태아 140만 원 지원 (현금이 아닌 포인트처럼 카드 사용 시 차감되는 형태)
- "국민행복카드"로 각 카드사별 신청 가능하며, 미신청 시 사용 불가능
- 받은 지원금은 보통 임신 중 병원, 약국 등에서 사용하나 출산 후 유아학비, 에너지바우처, 기저귀바우처 등으로도 사용 가능.

첫 만남 이용권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이 기준으로 기본 소득과 무관하게 한 아이당 200만 원 지급 (쌍둥이 400만 원, 세 쌍둥이 600만 원)
- 출생신고 시 자동으로 접수됨으로 별도의 신청은 필요 없음
- 출산장려금과 같이 현금이 아닌 포인트처럼 카드 사용 시 차감되는 형태로 산후조리원, 마트, 쇼핑 등 결제가 가능해 육아용품 구매 시 유용하게 사용 가능

③ 부모급여
- 출산 후 재산, 소득조건 상관없이
- (2023년 기준)만 0세 70만 원 / 만 1세 35만 원 지급

④ 아동수당
= 재산, 소득조건 상관없이 0세부터 만 8세 미만(95개월)의 아동에게 매월 10만 원씩 지급

위의 네 가지는 임신을 했거나 출산을 앞두고 있다면 나라에서 무조건 지원받을 수 있는 항목👶
특히 3번의 '부모급여'는 올해부터 시행되는 제도임으로 육아휴직, 어린이집 중복사용 등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길 바란다.

👉 2023년 부모급여

2023년 부모급여 : 신청 및 어린이집, 육아휴직 관련 정보

올해 정부 예산안 발표 후 가장 눈에 띄었던 부분 중 한가지, 바로 2023년 부모급여가 아닐까 싶다. 특히 2023년 1월 이후 출산을 앞두고 있다면 이 정보를 많이 찾아보았을텐데 관련하여 부모급여

charmel1013.tistory.com



이 외에 한 가지 더 추가하자면 혹시나 출산 후 가정양육을 할 시에도 중복으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는데 바로 "양육수당"이다. 이는 0~11개월 20만 원 / 12~23개월 15만 원 / 24~86개월 10만 원으로 기간별로 차등 지급된다.

* 어린이집, 유치원, 돌봄 서비스 이용 시 지원 불가능




이 외에도 각 지역별로 지원되는 혜택들도 많다. 허나 이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에 별도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
나날이 줄어가는 출산율에 정부와 각 지역에서 출산혜택을 늘려가고 있다. 임신과 출산 예정인 분들이라면 놓치지말고 혜택받아 출산과 육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바란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