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정부 출범 후 공약 중 하나였던 청년도약계좌가 올해인 2023년 6월 출시될 예정이라는 뉴스가 나오고 있다. 그만큼 2030 세대를 위한 지원정책도 추진해나가고 있다는 뜻!
적금형태로 중장기 자산을 만들고 싶은 청년들에게 적합한 해결책이 될 수도 있는 이 정책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만 19~34세 청년
- └ 병역이행 시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미산입
- 개인 소득 6,000만 원 이하 (세전)
- 중위소득 180% 이하 (가족 소득 포함)
- └ (참고) 중위소득 180% 기준 = 1인 374만 원, 2인 622만 원, 3인 798만 원, 4인 972만 원, 5인 1.139만 원, 6인 1,1301만 원
✔ 청년도약적금 소개
- 납입금액 : 자유적립식 - 최대 70만 원 (최소납입금액 제한 없음)
- 금리 : 3~6% 정부지원 + 은행금리 (미정)
- └ 월 70만 원 납입 5년 만기 시 수령금 : 5,000만 원 (원금 4200만 원 + 이자 800만 원)
- 적금유지기간 : 5년
- 은행 이자소득은 비과세 적용
정부 지원은 청년의 소득 구간에 따라 3~6%이며, 최대 70만 원을 5년 간 납입해야 최대 만기 수령금이 5,000만 원!!
또한 청년도약계좌 정책 발표 초기에는 최소가입금액이 40만 원으로 책정되어 있었으나 '소득하위 30% 청년가구 중 30.7%는 가입할 돈조차 없다.'라는 항간의 우려와 폭넓은 지원을 위해 최소납입금액 없는 자유적립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라고 한다.
여기서 한 가지 생각나는 것이 있다. 바로 "청년희망적금"
이 상품의 경우 작년 2022년 2월 출시되었는데 최고 10% 상당의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어 출시 후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초기 가입한 많은 사람들이 고용 위축, 경기 둔화 등 적금 유지가 어려워지면서 30만 명 가까운 청년들이 해지를 했다고 한다😥
이번에 출시를 앞둔 "청년도약계좌"는 개인 소득과 중위 소득 조건을 보면 꽤 높은 비율이기 때문에 전체 청년의 30%인 306만 명 정도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5년이라는 긴 납입기간에 망설여지더라도 자유적립식으로 운영될 예정이기 때문에 부담이 덜어진 것 같다👍

2023년 6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보니 은행 금리, 금리 수준, 운영방식 등 아직 확정되지 않은 내용들이 있다.
이 부분은 추후 공식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라고 하니 기다리고 있는 청년들의 기대만큼 좋은 내용으로 발표되길 바란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S23 울트라 : 가격 색상 스펙 비교 (feat. S22) (0) | 2023.01.25 |
---|---|
자일로스 설탕 이란 : 칼로리부터 알고 먹자 (0) | 2023.01.20 |
2023년 출산지원금 정리 : 출산 혜택 체크하기 (2) | 2023.01.15 |
제철 과일 딸기 : 효능 및 종류 알아보기 (2) | 2023.01.10 |
겨울제철음식 : 과메기 칼로리부터 효능까지 알고 먹기 (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