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 포스팅에서도 밝힌 것처럼 우리 부부는 맞벌이를 하고 있다.
남편은 IT 계열에서 일하고 있고, 나는 홍보 사무직으로 일하면서
나이 대비 지극히 대한민국 평균 연봉을 받고 있는 우리.
30대 초 남편연봉 4,000만 원/실수령액 290만 원
30대 초 아내연봉 3,500만 원/실수령액 255만 원
하여 매월 고정적으로 들어오는 소득은 550만 원 가량된다.
연봉으로 보면 7,500만 원이나 되는데 월 소득은 뭔가 적은 느낌이 드는 건 기분 탓일까..?
첨부한 우리의 맞벌이 신혼부부 가계부를 보면
고정지출(보험, 회비, 공과금, 교통비, 통신비, 용돈 등)과 변동지출(생활비)를 제외한 금액은 3백만 원정도 된다.
포스팅을 위해 정리하면서 숨만 쉬어도 나가는 돈이 250만 원정도라는 사실에 새삼 놀랐다.
300만 원은 적금으로 묶어두고 있는데 아래와 같다.
1. 하나은행 더 적금
한창 네이버 실검 1위에 뜨며 핫했던 적금이다.
하나은행이 회사명을 변경하며 이벤트로 내 놓았던 상품인데
1-2%의 저금리 시대에 파격적인 조건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최대 월 30만 원까지만 넣을 수 있지만 1년 만기 시 8만 원 정도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우리 부부는 타이밍을 놓쳐 한 명만 넣고있는 상황!
2.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남편 회사에서 복지 차원에서 직원들에게 들어준 적금.
이로 인해서 연봉 인상은 적게 되었지만 괜찮은 조건인 것 같다.
그 이유는 5년간 재직자가 매월 12만 원을 납입하면 기업에서 매월 20만 원을 추가 납입해 주고,
정부에서 1천만 가량 채워주어 5년 만기 시 3천만 원의 목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단, 5년은 한 회사에 만근을 해야한다.
3. 사이다 복리자유적금
제 1금융권 금리는 너무 낮아 2금융권으로 눈을 돌려 찾은 적금이다.
5천만 원까지는 예금자 보호가 된다고는 하지만 제2 금융권 밑으로 알아보지 않았다.
수협은행이나 농협상품 등은 금리가 더 괜찮은 것들도 있었으나 SBI 저축은행 상품으로 선택!
다른 맞벌이 신혼부부 저축률은 잘 모르겠지만
우리 부부는 550만 원에 300만 원 가량 적금을 들고 있으니
대략 54%
내가 정보를 많이 얻고 멘토로 생각하는 [재테크하는 아내 구채희 작가님]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50~60%의 저축률 유지하기라는 부분이 있었다.
우리는 3년에 1억 만들기를 계획하고 열심히 모으고 있는데 이렇게 정리를 하고 보니 나름 선방 중인 것 같다.
뿌듯하다.
앞으로 우리 부부는 연봉이 오르거나 추가 수익이 생기는 상황에 따라
계획을 수정하며 맞벌이 신혼부부 저축률을 높여볼까 한다.
맞벌이 신혼부부 저축비율 높이는 법 공유
이 전 포스팅에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 부부의 저축비율은 약 54% 정도이다. 하지만 더 높이고 싶은 욕심..! 저축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단하게 2가지 방법이 있다. 1번 : 돈을 더 벌기 2번 : 돈
charmel1013.tistory.com
사실 각자의 상황이 모두 달라 저축률이 더 높을 수도, 낮을 수도 있기 때문에 남의 이야기는 참고만 하는 게 좋다.
우리의 경우 운 좋게 임대 아파트가 당첨되어 신혼집을 구할 때 큰 대출을 받지 않아도 됐었는데
그만큼 느슨해지기 않기 위해서 계획을 좀 더 타이트하게 잡은 것도 있다.
이렇게 신혼부부 가계부 엑셀을 정리하다 보면 각자의 상황에 맞는 계획을 알맞게 세워
작은 계획이라도 흔들리지 않고, 무너지지 않는 게 중요한 것 같다.
챠챠 라이프 투게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수익 창출 : 전 이렇게 수입이 생기고 있어요 (2) | 2020.10.29 |
---|---|
맞벌이 신혼부부 저축비율 높이는 법 공유 (0) | 2020.10.26 |
맞벌이 신혼부부 가계부 엑셀 양식 만들어 정리해보기 (3) 예비비 (0) | 2020.10.23 |
신혼부부 가계부 엑셀 양식 만들어 정리해보기 (2) 경조사비 (0) | 2020.10.22 |
네이버 블로그 일 방문자 100명 애드포스트 수익은? (0) | 2020.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