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 정리하다보면 은근히 골치 아픈 항목
"경조사비"
이 항목의 경우 정기적이지도 않고, 매번 달라질 수 있는 변동성을 갖고있는 만큼 정확한 계획을 갖는게 중요한 것 같다.
우리 부부의 경우에도 경조사비를 얼마나 책정해야 하고 어떻게 예산을 잡아야 하는지 고민을 많이 했다.
'결혼'은 두 사람이 만났을 뿐 아니라 두 사람을 비롯한 가족이 합쳐지는 것이기도 하고,
그 만큼 인간관계가 넓어지기 때문에 축의금, 부조금, 조의금 등을 지출 할 일도 많아진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가 처음부터 경조사비를 별도로 관리한 것은 아니었다.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만큼 특별히 생각하지 않고 생활했는데 그러다보니 경조사가 있을 때는
생각보다 해당 월에 그 지출의 여파로 전체적인 가계 계획이 흔들리는걸 느껴 경조사비를 따로 관리하게 되었다.
하여 유튜브나 다른 블로그 글들을 많이 참고하여 내린 우리 부부의 결론을 공유해볼까 한다.
*실제 우리 신혼부부 가계부 - 경조사비 부분*
위의 우리 신혼부부 가계부 엑셀 양식을 보면 알겠지만
우리는 고정적인 수입 (부부의 월급) 외에 비정기적으로 수입으로 경조사를 해결하기로 하였다.
* 비정기수입 : 연말정산, 상여금, 기타소득 등
그 이유는 앞서 가계부 관련 포스팅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의 고정수입(월급)으로는 생활비, 여행비, 적금 등으로 모두 계획을 짜놓은 상태였기 때문에
비정기적으로 지출되는 경조사비를 예상하여 계획을 변경한다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웠기 때문이다.
2020/10/15 - [N잡 라이프] - 신혼부부 가계부 엑셀 양식 만들어 정리해보기 (1)
(물론 이 부분은 비정기적 수입이 없는 신혼부부 가계부라면 다른 방향으로 계획을 세워야한다.
매월 경조사비로 10만 원, 20만 원 정도를 적금해놓는 등..)
현재 2020년 10월
우리는 작년 가을 결혼 후 처음 맞이하는 추석까지 잘 보냈고, 12월에 남은 어머님 생신은 현금으로 드릴 예정이니
앞으로 남은 계획도 그대로 진행된다고 봤을 때 5만원이 남으니 계획대로 잘 한 것 같다.
하지만 경조사의 경우 비정기적 수입으로 계획한 부분과 가족 생일, 친지 생일 등 매 년 고정된게 있고,
결혼식이나 장례식 같이 예상치 못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계획되지 않을 확률이 있어 이 부분은 항상 염두해두어야 한다.
이를 대비할 수 있는 부분은 "예비비"인데 이 내용은 별도로 포스팅할 예정이다.
우리의 신혼부부 가계부 엑셀 양식은 계속해서 바뀌었고, 지금도 우리에게 맞게 바꾸어가는 중이다.
지금 옛날에 적어 둔 내용들을 보면 부족한 부분도 많고 과했던 부분도 많지만 계속해서 다듬어 우리만의 것을 만드는 중!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공유한 내용이라 부족한 부분이 많겠지만 앞으로 올리는 내용들도
갓 결혼한 분들이나 가계부를 적기위해 정보를 찾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챠챠 라이프 투게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벌이 신혼부부 저축비율 높이는 법 공유 (0) | 2020.10.26 |
---|---|
맞벌이 신혼부부 연봉 공개! 저축률은 얼마나 해야할까? (0) | 2020.10.24 |
맞벌이 신혼부부 가계부 엑셀 양식 만들어 정리해보기 (3) 예비비 (0) | 2020.10.23 |
네이버 블로그 일 방문자 100명 애드포스트 수익은? (0) | 2020.10.19 |
신혼부부 가계부 엑셀 양식 만들어 정리해보기 (1) (0) | 2020.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