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갖추고 필기 실기 합격률 올리기

by 챠챠* 2023. 2. 16.
728x90
반응형

우리가 늘 사용하고 있고 삶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는 '전기'는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이지만 이를 다루는 건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그 중 국가자격증으로 분류되고 있는 전기산업기사는 응시자격부터 까다롭고, 필기와 실기 모두 어려운 편에 속해 합격률도 낮은 편이지만 그만큼 전망이 좋다고 손꼽힌다.

 

2030세대 뿐 아니라 4050세대까지 폭넓은 연령대에서 인기있는 산업전기기사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자.

 

 

 

 

👉 응시자격 

전기산업기사의 경우 일반 자격증과는 다르게 자격조건을 갖추어야 시험에 응시가 가능하다.

 

*아래 조건 중 한 가지 충족 필수

①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증 + 실무 경력 1년 이상

② 동일분야 자격 산업기사 이상 자격증 취득 자

③ 기능경기 대회 입상 경력이 있는 자 

④ 대졸 (졸업 예정자)

2년제 이상 대학의 관련 전공 졸업자 혹은 졸업예정자

⑥ 산업기사 수준 훈련과정 이수 + 실무 경력 2년 이상

⑦ 동일/유사 분야 실무 경력 2년 이상인 자

⑧ 학점은행제 동일계열 학과 41학점 이상 취득한 자

 

 

👉 응시료 및 시험 정보

- 필기 : 19,400원

 └ 시험과목 :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전기설비기술기준
 └ 시험방법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 항 (과목 당 30분)

 └ 합격기준 : 100점 만점 시 과목 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20,800원

 └ 시험과목 :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 시험방법 : 필답형 (2시간)

 └ 합격기준 : 100점 만점 시  60점 이상

 

👉 시험일정

전기사업기사는 1년에 3회만 진행한다.

 2023년 1회 차는 접수 시간이 종료되어 응시가 불가능하며 현재기준으로 2회 차부터 가능하다.

출처 : 큐넷 홈페이지

 

👉 전망 및 하는 일

전기기계기구를 설계부터 제작, 관리 등과 더불어 전기설비의 다양한 전무적인 역할과 전기안전 관리 담당자로서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해당 자격증 취득 시 공기업(한전, 한수원, 전기안전공사 등)과 대기업 취업 시에도 유리하게 작용될 뿐 아니라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건설현장, 변전소, 아파트전기실 등 다양한 곳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문인력의 수요는 꾸준히 높아질 전망으로 보이며, 그만큼 많은 인원이 응시하고 있다고 한다.

 

👉 합격률 

* 평균 합격률 : 필기 19% / 실기 34%

 

최근 6년 기준으로 필기는 평균 3만~4만명, 실기는 평균 1만~2만명이 응시하고 있지만 앞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전기산업기사 필기와 실기 합격률은 낮은 편이다. (기사, 산업기사 포함 3번째로 낮은 합격률)

그만큼 난이도가 높은 편에 속하는데 이유는 공부해야 할 범위가 광범위하고 익숙하지 않은 용어나 공식이 많기 때문이다. 이럼에도 독학으로 준비하는 분들이 꽤 많지만 빠른 합격을 하고 싶다면 인터넷강의나 학원(국비지원)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 


 

전기산업기사 취득 후 전기공사협회 등록 된 전기공사 업체에 입사 후 경력을 쌓게 되면 5년 시 중급기술자, 8년 시 고급기술자로 등록이 가능하다.

자격증 취득 계획과 함께 본인의 미래 계획을 잘 세운다면 든든한 보험이 될 것으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