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및 신혼부부의 정부지원사업 중 "주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뉴스에 계속 등장하는 '전세 사기 사건'으로 인해 더더욱 공공임대주택을 선호하는 분위기이며, 최근 실시한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은 4만 명 이상의 수요자가 몰릴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사업은 서울시에서 주최하고 있으며, 아직 경제적으로 안정적이고 여유롭기 힘든 청년과 신혼부부들에게 시세대비 저렴한 공공임대와 민간임대를 제공하고 있다.
✔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조건
① 만 19~39세 이하의 무주택자
└ 청년형 신청 시 미혼
└ 신혼부부 신청 시 혼인 후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의 경우 입주 전까지 혼인사실 입증)
② 소득기준에 부합한 자
└ 청년 : 전년도 소득기준 100% / 1인 가구 3,854,535원)
└ 신혼부부 : 전년도 소득기준 120% / 2인 가구 5,813,244원, 3인 가구 7,702,279원…)
③ 본인 자산 가액 (본인명의 주식, 보험, 대출 등의 총합계)
└ 청년 : 2억 8,800만 원 이하
└ 신혼부부 : 3억 2,500만 원 이하
④ 차량 미소유 및 미운행자
└ 장애인, 유자녀, 생업용에 한해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자격증빙 후 소유 및 운행 가능
✔ 역세권 청년주택 임대료
임대료는 지역, 유형, 면적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지만 기본적으로 주변시세 대비 저렴하게 공급되고 있다.
- 공공임대 : 주변시세 대비 30% 수준
- 민간임대 : 특별공급 주변시세 대비 85% 수준 / 일반공급 주변시세 대비 95% 수준
* 정확한 임대보증금 및 월 임대료는 공고가 떠야 정확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미리 대략적인 금액은 본인이 원하는 지역에 기존 공고를 참고하여 추측해 볼 수 있다.
✔ 역세권 청년주택 금융지원
자격을 모두 충족한다면 임차보증금 무이자 지원 신청도 가능하다.
- 임차보증금 1억 초과 : 보증금의 30% (청년 최대 4,500만 원, 신혼부부 최대 6,000만 원)
- 임차보증금 1억 이하 : 보증금의 50% (청년 및 신혼부부 최대 4,500만 원)
이 외에 부족한 자금은 타 금융기관의 전세자금대출과 중복 가능하나 대출가능여부는 금융기관에 직접 문의해야 한다.
▼ 청년 전세자금대출 관련 정보
청년 전세자금대출 조건 : 전월세 보증금 걱정마세요!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부동산 정책이 완화되고 있는 요즘,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전월세보증금대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실제로 최근에 나의 사촌 동생도 지방에서 올
charmel1013.tistory.com
이름 그대로 역세권에 청년 및 신혼부부의 주거안정을 위한 사업인 만큼 서울의 각 지역별로 2023년, 2024년까지 예정된 공급현황 및 계획도 확인할 수 있으니 필요한 분들은 아래 SH 역세권 청년주택 공식홈페이지에서 놓치지 말고 체크하길 바란다.
역세권청년주택
soco.seoul.go.kr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꾸러미 : 신청방법 및 기간 (0) | 2023.02.02 |
---|---|
실내 마스크 해제 : 헬스장, 학교, 어린이집 모두 괜찮을까? (0) | 2023.01.30 |
난방비 아끼는 법 : 폭탄 이유와 절약 꿀팁 (0) | 2023.01.26 |
갤럭시 S23 울트라 : 가격 색상 스펙 비교 (feat. S22) (0) | 2023.01.25 |
자일로스 설탕 이란 : 칼로리부터 알고 먹자 (0) | 2023.01.20 |
댓글